반응형
톨스토이가 문학작품을 통해 평생 일관되게 추구한 것 중 중요한 것으로는
'삶과 죽음, 자연과 문명, 이성과 감성, 선과 악의 문제'라고 하는데
이 책은 그 중에서도 '삶과 죽음'을 다루고 있다.
이반 일리치는
귀족 자제로 평생 어려움 없이 '세상의 눈'으로 보면 잘 살아 왔다.
고등법원 판사라는 직위를 즐겼고, 그 이유는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보다는
그 자리에 있으면 '존중'을 받기 때문이다.
아내와의 사랑은 일찌감치 식었지만,
서로의 필요에 의해 살아가고 있으며
그에게는 일과 친구들과의 카드모임이 더욱 소중하다.
새 집으로 이사하고 집 안의 모든 것에
본인의 격상된 지위처럼 고상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
골동품을 사들이고 집안 꾸미기에 온갖 신경을 쏟아붓던 어느 날.
그는 커튼을 달다 옆구리를 액자틀 모서리에 부딪히고 만다.
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지만..
그 날 이후로 옆구리의 고통을 심해지고,
알 수 없는 병에 시달리다가
결국, 45살의 나이로 죽음을 맞이한다.
이반의 사망 소식을 접하자
그가 소중히 생각했던 사교계 친구들의
머리에 떠 오른 첫 번째 생각은 그의 죽음으로 인한
자신이 아는 이들의 자리 이동이나 승진에 어떠한 의미를 갖냐는 것이다.
장례식 장에서, 가족들은 잠시 동안 그의 죽음을 애도하지만
평생을 함께 한 아내는
자신이 앞으로 받게 될 연금을 더 타낼 수 없는 방법은 없을지 걱정하고
아름다운 딸과 예비사위는 그의 장례식으로 인해
결혼 계획이 엉망이 될까봐 노심초사, 짜증이 잔뜩 묻어 있는 얼굴이다.
이반은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자
그 동안 살아온 자신의 삶을 반추하게 된다.
잘 살아 왔다고 자부했지만, 얼마나 빈껍데기 삶이었는지 그제서야 깨닫는다.
"그게 아냐. 네가 살아오면서 추구한 것은 죄다 거짓이고 사기야.
그게 네 눈을 가려 삶과 죽음을 못 보게 한 거야"
안나 카레리나 이후 심각적 정신적 위기를 겪은 후에 쓴 작품이라 그런지..
'죽음'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 같아 보이나
실제, 우리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해 말하고 있다.
오늘 교회에서 들은 목사님 설교 말씀 중
신앙이 바로 서지 않은 시대, 교회가 중심을 잃은 문화에서는
사회가 더욱 황폐해지고, 사람들은 더 많이 두려워하고 공포심을 갖게 된다고 했다.
즉, '믿음'을 잃었기 때문에, '다음세상'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.
지금 '땅의 세상'에만 치중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.
그러므로 우리는 '주님의 말씀'을 듣고 삶의 목표를 다시 세워야 한다는 것인데.
꼭 신자가 아니더라도.
'이반 일리치의 죽음'을 보면 헛헛한 마음이 들고
한 번쯤 다시 내 삶을 돌아보게 될 것이다.
얼마나 당황스러울까?
평생 잘 살아왔고, 남부럽지 않은 인생이었는데
그게 잘못된 것이었다고 죽음을 목전에 두고 깨닫게 되다니 말이다.
나는 '이반'처럼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
마지막 순간을 웃으며 맞이할 수 있도록
삶의 목표, 소중한 것들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- 사회적 지위, 경제력 등이 1순위가 되지 않도록-
귀하게 여기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겠다.